반응형
앞의 내용들을 다 따라왔다면 조건문은 매우쉽다.
기본적인 제어문의 구조이다.
조건문은 한글로 풀어서 이해하면 매우 쉽게 이해할수있다.
if = 만약에.... else = 그렇지않으면.... 이란뜻이다.
만약에 (조건식이 참이면)
{
코드...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
코드...를 실행해라.
}
이정도가 전부이다. 여기서 복잡하게 생각하면 조건이 여러가지일경우가 될텐데 결국엔 참거짓이다.
하나의 조건에 경우의 수가 2가지일뿐이다.
만약, 수업의 내용이 아닌 실업무에서 행해지는 경우의 수라면 아마 예외적인게 많을것이다. 대게 보안쪽인 부분을 들어가게되면 기본적인 조건만 수십가지 수백가지가 될수도있다.
어차피 인간이 만들어낸 조건일뿐이다. 제어문이 겹치고 겹치고 겹치다보면 만들어지는게 알고리즘인것이고, 그 알고리즘을 생각해낸것도 인간이다. 겁먹지마라. 어차피 할수있다.
위 코드들은 jungol.co.kr 사이트에서 직접 풀어봐라...
조건문을 만들어내는것 자체가 능력이다.
switch 구문은 쪼금 다른데 이놈도 비슷하다.
switch(조건식) ---> 이경우 조건식에서 값이 나오게 된다.
case 값1 : 코드...
break;
case 값2 : 코드...
break;
이런식으로 가게 된다. 조건식에 맞는 값이 나올때 이런동작을 수행하란 의미이다. 위의 if문과 대게 비슷하면서도 쪼금 다른 형식이다.
반응형
'Java 수업 > 수업내용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VM메모리 영역 정리 (1) | 2019.05.19 |
---|---|
연산자 및 리터럴(literal)에 관한 내용 (1) | 2019.05.19 |
Scanner 객체 사용방법. (1) | 2019.05.19 |
이클립스 사용시 유용한 단축키 (1) | 2019.05.19 |
이클립스 다운 및 환경 셋팅 (0) | 2019.05.19 |